근로소득세 자동계산기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직장에 다니는 분들은 일하는 대가로 금전적인 대가를 받게 되는데요. 근로소득세는 직장에서 일한 대가로 받는 월급이나 시급, 일당 등 급여에 매겨지는 세금을 뜻합니다. 근로소득에 대한 세금 계산법을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근로소득세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할 텐데요.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근로소득세의 정의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갑종근로소득세 즉 갑근세로도 불리는 종합소득세의 일종입니다.
이 중에서 원천징수의 대상이 되는 근로소득은 일할 수 있는 권한의 제공으로 인해서 받을 수 있는 봉급이나 급료, 임금 등과 유사한 성질을 띄는 급여 그리고 법인의 주주총회나 사원총회 혹은 이에 준하는 의결기관의 결의에 의해 받을 수 있는 소득이 속하고 이외에도 다양한 대상들이 존재합니다. 근로소득세는 과거에 원천징수를 하냐 마냐의 여부에 따라서 하는 근로소득은 갑종근로소득으로, 그 대상이 아니라면 을종근로소득이라고 표시하였었는데요.
근로소득세를 계산해볼 수 있는 간이세액표 파일입니다. 2020년 근로소득세 간이 세액에 관한 개정사항이 2월1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올해 이것을 계산하시는 분들은 개정사항을 꼼꼼하게 읽고 계산하시는 것이 좋겠네요. 회사에 다니던지, 자영업을 하든지 수익이 있는 사람이라면 다 연말정산을 하실 텐데요. 이때 평소 내가 내는 세금이 무엇인지는 아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과세에 대해서 더 잘 알면 절세나, 공제, 환급 등의 다양한 이득도 볼 수 있답니다. 저희 집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20세 이하의 세 자녀를 두고 있어서 남들보다 높은 공제률을 받고 있답니다.
국세청 사이트를 통해 근로소득세 자동계산기를 실행해볼 수 있겠습니다. 사이트에서 로그인 없이 바로 계산해볼 수 있어서 사용이 편합니다. 근로소득에 대한 간이세액표 자동 조회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월 급여액과 공제대상 가족 수, 공제대상 가족 중 20세 이하 자녀 수를 입력하면 되겠습니다. 월급여액은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금액을 넣으면 되겠구요. 가족 수는 기본공제대상자에 해당하는 수를 넣으면 됩니다. 20세 이하 자녀 수도 기본공제 대상자에 해당하는 자녀 수를 넣으면 되겠습니다. 예시로 월급여액 500만원에 가족 수 1인, 20세 이하 자녀 수 1인으로 넣고 조회를 눌렀습니다.
근로소득세 자동계산기를 통해 나온 결과입니다. 80%, 100%, 120%로 결과나 보여지는데요. 소득세, 지방소득세, 납부세액의 합계액이 보기 쉽게 나옵니다. 워낙 간단하기에 쉽게 계산해볼 수 있을꺼에요.
근로소득세 자동계산기와 관련하여 단순하게 계산을 하는 방법은 매월 얼마의 세금을 떼어가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적인 세금과는 전혀 관련이 없기 때문에 소용이 없습니다. 실제 세금을 정확한 금액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연말정산을 하고 난 뒤에나 가능하기 때문인데, 연말정산을 하기 전 어느 정도는 세금이 공제가 될지 미리 파악할 수는 있습니다.
근로소득세 자동계산기에 추가적으로 간단한 근로소득세 계산법으로는 우선 올해 받은 총급여를 12로 곱해야 합니다. 그러면 연간 총급여액이 추산됩니다. 그런 다음 총급여액 비과세 소득 차금 금액을 근로소득금에서 차감하면 종합소득과세표준을 계산할 수 있답니다. 결정세액에 대한 부분은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나 세액감면을 빼면 된답니다. 연말정산에서 기납부 세액에 대한 부분을 빼면 차감징수세액을 구할 수 있지만 이것은 우리가 계산하는 실제 결정세액에서 결정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일정한 급여를 받는 직장인 분들의 경우에는 근로소득금액과 근로소득공제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연말정산시 확실히 받을 수 있도록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쉽게 계산을 하는 방법은 홈택스나 국세청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근로소득세 자동계산기를 통해 쉽게 계산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월 급여액이 250만원 정도라고 하고 20세 이하의 자녀 2명으로 총 4명의 가족 구성원일 경우 80%의 경우 소득세는 5120원 지방소득세 510원으로 총 납부세액의 합계액은 5630원이 나왔습니다. 100%의 경우에는 소득세 6400원, 지방소득세 640원으로 합계액은 7040원이라고 합니다.
근로소득세 자동계산기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많이 벌수록 세금을 더 많이 내게 됩니다. 현재 근로소득세 세율은 과세표준 액수에 따라서 총 6개의 구간으로 나눠져 있으며 가장 적은 구간인 1200만 원 이하에서는 6%의 소득세율에 매겨지게 되고 구간이 높아질수록 적용되는 세율은 15%, 24%, 35%, 38% 순으로 높아지게 돼요. 본인의 근로소득 세액 확인방법은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확인하세면 돼요. 고소득 계층의 경우에는 세금 부담이 늘어난 거죠. 이 외에도 근로소득세에 대한 논란이 있는데요.
오늘은 근로소득세 자동계산기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각자의 급여액과 가족 구성원 수와 자녀수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니 근로 소득세가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